1 | <html> |
---|
2 | <head> |
---|
3 | <title>블로그 설정</title> |
---|
4 | </head> |
---|
5 | |
---|
6 | <body> |
---|
7 | |
---|
8 | <h3>블로그 상세정보</h3> |
---|
9 | <dl> |
---|
10 | <dt>블로그 ID</dt> |
---|
11 | <dd>블로그의 고유 ID. 필수사항으로서, 최상위 관리자만이 변경할 수 있습니다.</dd> |
---|
12 | |
---|
13 | <dt>블로그 name</dt> |
---|
14 | <dd>Name of the 블로그, 필수사항.</dd> |
---|
15 | |
---|
16 | <dt>블로그 URL</dt> |
---|
17 | <dd>블로그의 완전한 URL. 필수사항으로서, 최상위 관리자만이 변경할 수 있습니다.</dd> |
---|
18 | |
---|
19 | <dt>블로그 상태</dt> |
---|
20 | <dd> |
---|
21 | <ul> |
---|
22 | <li><strong>공개</strong>: 방문자에게 공개된 블로그</li> |
---|
23 | <li><strong>비공개</strong>: 방문자에게 폐쇄된 블로그, 등록된 저자들은 관리자화면에서 글쓰기 가능.</li> |
---|
24 | <li><strong>폐쇄</strong>: 방문자와 저자들 모두에 폐쇄된 블로그.</li> |
---|
25 | </ul> |
---|
26 | </dd> |
---|
27 | |
---|
28 | <dt>블로그 설명</dt> |
---|
29 | <dd>블로그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여기에다 작성할 수 있고, 아무 서식도 주어지지 않는 |
---|
30 | 단순 텍스트 파일로 저장됩니다.</dd> |
---|
31 | </dl> |
---|
32 | |
---|
33 | <h3>블로그 설정</h3> |
---|
34 | <dl> |
---|
35 | <dt>블로그 저자 이름</dt> |
---|
36 | <dd>블로그를 책임진 저자 이름. 블로그 소유자일 수도 있고, 공개작업 관리자가 있다면 그가 될 수도 있습니다.</dd> |
---|
37 | |
---|
38 | <dt>저작권 표시사항</dt> |
---|
39 | <dd>블로그 내용에 대한 저작권 관련 사항 표시.</dd> |
---|
40 | |
---|
41 | <dt>기본 언어</dt> |
---|
42 | <dd>블로그 인터페이스의 기본 언어. 이 언어가 블로그의 사용가능한 언어 중 하나인 경우, |
---|
43 | 인터페이스도 이에 맞는 번역본으로 나오고, 그렇지 않을 경우 인터페이스는 영어로 보여집니다.</dd> |
---|
44 | |
---|
45 | <dt>블로그 시간대</dt> |
---|
46 | <dd>댓글과 글걸이에 사용되는 시간대 설정.</dd> |
---|
47 | |
---|
48 | <dt>날짜 형식</dt> |
---|
49 | <dd>블로그 글꼭지들의 날짜 형식.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날짜 시간 형식 참조를 보세요.</dd> |
---|
50 | |
---|
51 | <dt>시간 형식</dt> |
---|
52 | <dd>블로그 글꼭지들의 시간 형식.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날짜 시간 형식 참조를 보세요.</dd> |
---|
53 | |
---|
54 | <dt>페이지당 .. 글꼭지 보이기</dt> |
---|
55 | <dd>이 숫자는 홈페이지 및 각 분류와 타래소식(RSS피드)의 첫 페이지에 출력되는 글꼭지들의 최대 갯수입니다.</dd> |
---|
56 | |
---|
57 | <<<<<<< .working |
---|
58 | <dt>댓글을 .. 일 동안 열어둠</dt> |
---|
59 | <dd>이 숫자는 댓글이나 글걸이가 공개된 후 방문자에게 몇일 동안 개방해 둘 지 지정합니다. |
---|
60 | 이 숫자를 빈칸으로 두면, 댓글들의 공개기간은 무한정입니다.</dd> |
---|
61 | ======= |
---|
62 | <dt>Leave comments open for .. days</dt> |
---|
63 | <dd>The number of days during wich comments and trackbacks will be open |
---|
64 | after the post publication. When empty, the comments will be kept open |
---|
65 | indefinitly.</dd> |
---|
66 | >>>>>>> .merge-right.r2787 |
---|
67 | |
---|
68 | <dt>글꼭지와 댓글에 이티모콘 보이기</dt> |
---|
69 | <dd> :-) 나 ;-) 같은 문자열을 해당 이미지로 표현해 보여줍니다.</dd> |
---|
70 | |
---|
71 | <dt>댓글 허용</dt> |
---|
72 | <dd>블로그 전반에 댓글을 허용합니다. 각 글꼭지의 댓글 설정에 우선하는 상위 설정입니다.</dd> |
---|
73 | |
---|
74 | <dt>글걸기 허용</dt> |
---|
75 | <dd>블로그 전반에 글걸기를 허용합니다. 각 글꼭지의 글걸기 설정에 우선하는 상위 설정입니다.</dd> |
---|
76 | |
---|
77 | <dt>댓글 및 글걸기 공개전 점검</dt> |
---|
78 | <dd>이 사항이 선택되어 있으면, 댓글과 글걸기들은 공개되기 전, 글꼭지 글쓴이의 동의를 얻는 |
---|
79 |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dd> |
---|
80 | |
---|
81 | <dt>댓글 및 글걸이의 링크에 "nofollow" 관계 추가</dt> |
---|
82 | <dd>댓글 및 글걸이의 링크에 "nofollow"라는 관계 속성을 추가하면, 검색엔진 로봇들이 이들 |
---|
83 | 링크를 추적하지 않게 되어 스팸을 예방함. 현재 이 스팸방지기능의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dd> |
---|
84 | |
---|
85 | <dt>댓글에 위키 문법 허용</dt> |
---|
86 | <dd>댓글에서 위키 문법규칙을 적용하여 글을 쓸 수 있게 허용함.</dd> |
---|
87 | </dl> |
---|
88 | |
---|
89 | <h3>날짜 시간 형식 참조</h3> |
---|
90 | <p>여기에 지정된 날짜 시간 형식 표현 인수들은 PHP의 strftime() 함수에 사용되는 포맷 지시 인수들입니다. 아래에서 말하는 로케일은 "각 사용자 시스템의 설정값에 의존하는 표시방식"을 말합니다. 즉, 로케일에 의존하는 인수일 경우 동일 인수라도 사용자시스템에 따라 표현방식이 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p> |
---|
91 | <p>날짜 및 시간 설정 칸에 쓰인 문자열에서 아래에 언급된 인수들을 제외한 모든 문자열은, PHP 함수변환 단계에서는 변환없이 그대로 통과됩니다. 예를 들어, <strong>%Y</strong>는 <strong>2009</strong>를, <strong>%Y년</strong>은 <strong>2009년</strong>을 출력합니다.</p> |
---|
92 | <p>아래의 인수들을 이용하여, 당신의 필요에 따라 날짜나 시간을 표현하세요.</p> |
---|
93 | |
---|
94 | <ul> |
---|
95 | <h4>연도와 세기</h4> |
---|
96 | <li><strong>%y</strong>: 2 자리 연도 (00..99)</li> |
---|
97 | <li><strong>%Y</strong>: 4 자리 연도</li> |
---|
98 | <li><strong>%g</strong>: %G 와 같지만 2 자리.</li> |
---|
99 | <li><strong>%G</strong>: 주차에 일치하는 4 자리 연도 표시 (cf. %V). |
---|
100 | 자세한 설명은 이 글 말미의 "주차에 따른 연도표시"항 참조.</li> |
---|
101 | <li><strong>%C</strong>: 세기 숫자표시 (연도를 100으로 나눈 뒤, 00에서 99까지는 내림처리)</li> |
---|
102 | <h4>월</h4> |
---|
103 | <li><strong>%b</strong>: 축약된 월 이름, 로케일. ex) Jan 또는 12월 (cf. 한국어로케일에선 %B와 동일)</li> |
---|
104 | <li><strong>%B</strong>: 온전한 월 이름, 로케일. ex) January 또는 12월</li> |
---|
105 | <li><strong>%h</strong>: %b 에 동일</li> |
---|
106 | <li><strong>%m</strong>: 월, 두 자리 표시 (01..12)</li> |
---|
107 | <h4>일</h4> |
---|
108 | <li><strong>%d</strong>: 월중 일 2자리 숫자표시 (01..31)</li> |
---|
109 | <li><strong>%e</strong>: 월중 일 1자리 숫자표시 (1..31)</li> |
---|
110 | <li><strong>%j</strong>: 연중 일 숫자 표시 (001..366)</li> |
---|
111 | <h4>요일</h4> |
---|
112 | <li><strong>%a</strong>: 축약된 요일, 로케일. ex) Mon 또는 화</li> |
---|
113 | <li><strong>%A</strong>: 온전한 요일, 로케일. ex) Monday 또는 화요일</li> |
---|
114 | <li><strong>%u</strong>: 주중 요일 숫자 표시, 월요일 = 1 (1..7)</li> |
---|
115 | <li><strong>%w</strong>: 주중 요일 숫자 표시, 일요일 = 1 (0..6)</li> |
---|
116 | <h4>연중 주차</h4> |
---|
117 | <li><strong>%U</strong>: 연중 주차, 연도의 첫 일요일이 첫주 첫날.</li> |
---|
118 | <li><strong>%W</strong>: 연중 주차, 연도의 첫 월요일을 첫주 첫날.</li> |
---|
119 | <li><strong>%V</strong>: 연중 주차, ISO 8601:1988 정의에 따름, 숫자 표시, 01..53. |
---|
120 | 1월 4일이 포함된 주가 그해의 첫주가 되고, 그 주의 일요일이 그 해의 첫날. |
---|
121 | 자세한 설명은 이 글 말미의 "주차에 따른 연도표시"항 참조.</li> |
---|
122 | <h4>연월일 복합</h4> |
---|
123 | <li><strong>%D</strong>: %m/%d/%y 와 동일 </li> |
---|
124 | <h4>시간</h4> |
---|
125 | <li><strong>%r</strong>: 12시간제 시분초, 로케일 설정 am/pm 표시가 뒤따름. ex) 05:19:00 PM</li> |
---|
126 | <li><strong>%T</strong>: 24시간제 시분초, %H:%M:%S 와 동일, ex) 19:27:58 </li> |
---|
127 | <li><strong>%R</strong>: 24시간제 시분, ex) 17:19</li> |
---|
128 | <li><strong>%p</strong>: AM/PM 오전/오후 표시, 로케일에 설정된 값. ex) AM </li> |
---|
129 | <h4>시</h4> |
---|
130 | <li><strong>%H</strong>: 시, 24시간 모드 (00..23)</li> |
---|
131 | <li><strong>%I</strong>: 시, 12시간 모드 (01..12)</li> |
---|
132 | <h4>분</h4> |
---|
133 | <li><strong>%M</strong>: 분 (00..59)</li> |
---|
134 | <h4>초</h4> |
---|
135 | <li><strong>%S</strong>: 초 (00..59)</li> |
---|
136 | <h4>시스템 의존형</h4> |
---|
137 | <li><strong>%c</strong>: 시스템(서버) 설정 로케일, 날짜 및 시간 표시</li> |
---|
138 | <li><strong>%x</strong>: 시스템(서버) 설정 로케일, 날짜 표시</li> |
---|
139 | <li><strong>%X</strong>: 시스템(서버) 설정 로케일, 시간 표시</li> |
---|
140 | <h4>편집문자 및 예외</h4> |
---|
141 | <li><strong>%n</strong>: 행나눔 문자</li> |
---|
142 | <li><strong>%t</strong>: 탭 문자</li> |
---|
143 | <li><strong>%Z ou %z</strong>: 시간대 이름 또는 그 약칭</li> |
---|
144 | <li><strong>%%</strong>: % 문자</li> |
---|
145 | </ul> |
---|
146 | <H4>주차에 따른 연도표시</H4> |
---|
147 | <p>연중 주차를 결정하는 ISO 8601:1988 정의는, 한 해의 4일을 처음 포함하는 주를 그 해의 첫주로 함. 달리 말하면 1월 4일이 포함된 주가 그 해의 첫주가 됨. (ISO 규정에서 주차는 1에서 53임.)</p> |
---|
148 | <p>일요일을 한 주의 시작으로 할 경우, 1월 4일이 포함된 주의 일요일이 그 해의 첫날이 됨.</p> |
---|
149 | <p>이에 따라, 한 해의 첫주에는 전 해의 마지막 3일이나 다음 해의 첫 3일이 포함될 수 있기에, 주차와 연관지어 연도표시를 할 때, 표기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p> |
---|
150 | <p>예: 월요일인 2007년 12월31의 연도값(%Y)은 2007이지만, 2008년 1월 4일이 그 주에 포함되므로 주차값(%V)은 2008년의 첫주값인 1이 됨. </p> |
---|
151 | <p>이 때문에, 예를 들어 시스템 날짜가 2007년 12월31일일 때, "오늘은 %Y 년 %V 째주입니다"라는 인수표현을 처리하면 "오늘은 2007 년 1 째주입니다" 라는 어색한 결과가 나오게됨. </p> |
---|
152 | <p><strong>%G</strong> 인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임. 시스템 날짜가 2007년 12월31일일 때, %Y 대신 %G을 써서 만든, "오늘은 %G 년의 %V 째주입니다." 라는 표현식은, "오늘은 2008 년의 1 째주입니다." 라는 결과를 냄.</p> |
---|
153 | |
---|
154 | </body> |
---|
155 | </html> |
---|